html(27)
-
Day52 - [JSP]forward
이번에는 JSP 에서 forward 를 알아 봅시다. forward forward 는 actionTag 중 1개 입니다. actionTag는 마감처리 합니다. forward 는, sendRedirect 처럼 다른페이지로 이동 시킬 때 사용합니다. 사용. forward 와 sendRedirect의 차이점 forward는 전달받은 값을, 그대로 다음 페이지까지 전달할 수 있습니다. sendRedirect는 전달받은 값을 버리고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즉. 1번째 페이지에서 form으로 데이터를 2번째 페이지로 전달하면, forward는 3번째 페이지로 form의 데이터를 전달하고, sendRedirect는 3번째 페이지에서, 1번째 페이지에서 form으로 전달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서블릿에서 ..
2021.04.28 -
Day52 - [JSP] 예외 페이지
이번에는 JSP 환경에서 오류가 나면, 예외 페이지로 가는 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예외 페이지 먼저, 예외 페이지를 만들기 전에, 어떤 오류(예외)가 있는지 알아야 겠죠? 대표적으로 링크 오류와, 자바 코드 오류가 있습니다. 1. 링크 오류 - 404 2. 자바 코드 오류 - 500 이 외에도 아래의 오류 등등이 있습니다. 예외 페이지는, 오류가 났을 경우 해당 페이지로 이동 시켜주는 방법을 이용하는 건데요. 오류가 났을 경우 이동할 페이지를 만들어 줍시다. 파일명 : error_view.jsp 그리고, 예외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3개가 있는데요 1. try catch 사용하기 그런데, 이렇게 사용하면 코드의 가독성이 굉장히 떨어집니다. 2. 에러를 처리할 페이지를 따로 지정하기 맨 위에 위와 같이 ..
2021.04.28 -
Day52 - [JSP]application
이번에는 JSP 의 application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application application 은, JSP의 내장 객체 중 1개 입니다. JSP에서 단 1개만 유지가 됩니다. 서버를 종료할 때 까지, 계속 유지 됩니다. application 의 데이터는 공유 됩니다. application 은 웹 페이지 에서 전부 사용할 수 있습니다. application 의 사용법 application 은 session과 사용법이 비슷 합니다. 내장 객체이기 때문에, 객체화 할 필요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 합니다. 특정 데이터 값을 넣어줄 때는, setAttribute를 application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할 때는 getAttribute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제, 부분에서 total을 확인해 보시면 됩..
2021.04.28 -
Day51 - [JSP]Cookie 쿠키 와 Session 세션
이번에는 쿠키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Cookie 평소에 인터넷 서핑 좀 하신 분이라면, 쿠키 를 한번 쯤은 들어 보셨을 겁니다. 쿠키는 브라우저에 접속했을 때, 값을 저장하기 위해 있는 건데요 쿠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1가지 개념을 알고 가야 합니다. 인터넷 브라우저(클라이언트)는, 서버(웹페이지) 에 접속을 하기 위해서, request(요청) 이라는 것을 하고 서버(웹페이지)는 request(요청)을 받아서 .java 파일로 변환 후, 컴파일 한 후에 브라우저(클라이언트) 에게 돌려 줍니다. 네. 돌려 줍니다. 그러니까 처음에 한번 실행되고 그 데이터를 브라우저에게 돌려 줍니다. 즉. 브라우저는 서버의 데이터를 받아서 가만히 있습니다. ( 서버와 연결이 끊깁니다 ) 처음에 요청한 데이터를 그대로..
2021.04.27 -
Day50 - [JSP]out객체
이번에는 out객체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out out 객체는 jsp파일의 내장 객체 중 1개로써 JSP 페이지가 생성하는 모든 내용은 out 기본 객체를 통해 전송됩니다. JSP 페이지 내에서 사용하는 비스크립트 요소들(HTML코드와 텍스트)이 out 객체에 전달됩니다. 값을 출력하는 표현식(expression)의 결과값도 out객체에 전달됩니다. 표현식으로 대체합니다 out 객체는 jsp 파일에서 위와같이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out 객체를 사용하면, html 코드는 출력문 안에 사용을 해야해서, 보기가 불편하죠? 그래서, 표현식으로 대체해서 사용하는 방식이 더 좋다고 해요. out 객체는 jsp 파일의 내장 객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 .java 파일에서는 사용할 수 없을까요? ( 서블릿 파일 ..
2021.04.27 -
Day50 - [JSP]Response.redirect
이번에는 JSP의 Response 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Response Response 는 JSP의 내장 객체 중 1개 입니다. Response 는 서버에서 응답 하는 기능 입니다. Redirect response 는 내장 객체이기 때문에, request 처럼 객체화 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Redirect 는, 만나는 순간 서버에서 해당하는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예제를 봅시다. 먼저, 값을 넘겨줄 초기화면을 만들어 주세요. ※ 파일명 : res_ex01.jsp 확인을 누르면, res_ex01_result.jsp 로 넘어갑니다. 해당 파일을 만들어 주어야 겠죠? ※ 파일명 : res_ex01_result.jsp 여기에서는, 넘겨준 데이터들을 가지고, 처리를 한 후 if문을 ..
202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