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27)
-
Day59 - [JSP]필터
이번에는 JSP 환경에서의 필터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필터 평소에 필터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필터는 원하는 것만 걸러내서 보여주죠? 여기서도 똑같습니다. 필터는 FrontController(서블릿) 으로 들어가기전 요청을 가로채 검사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필터를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합시다. 필터 생성 1. 필터 클래스는 일반 자바 파일로 생성합니다. 2. Filter 인터페이스를 상속 받습니다 3. 일반적으로 doFilter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합니다 4. 사용 후 doFilter(request, response); 메서드를 반드시 사용 합니다. public class AuthFilter implements Filter { @Override public void doFilt..
2021.05.10 -
Day59 - [JSP]페이징
이번에는 JSP 환경에서 페이징 을 알아 봅시다. 페이징 페이징은 아래와 같이, 게시판의 글이 많으면 나눠서 보여주는 것을 말하는 데요 ※ 페이징을 구현하기 전에, 글의 개수를 늘렸습니다. 페이징의 특성 1. 반드시 GET 방식으로만 처리한다 2. 이동할 때 페이지 번호, 보여줄 페이지 개수 를 가지고 다녀야 한다 -> 목록 으로 나올 때 현재 페이지를 유지하기 위해 3. 페이징 처리하는 로직을 클래스로 분류한다 -> PageVO클래스는 페에징 관련 모든 페이지를 계산한다 먼저, 페이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페이지에서 몇개의 게시판 목록을 보여줄지 에 대한 메서드를 먼저 구현해야 합니다. 페이징 구현 그러기 위해서는 게시판의 특성을 잘 생각해 봅시다. 게시판은 최신글이 위에 나타나는 특성을 가지고 ..
2021.05.10 -
Day 58 -[JSP]MVC2 게시판 만들기
이번에는 JSP 환경에서 MVC2 모델 방식으로 게시판을 만들어 봅시다. 게시판 만들기 게시판의 배경 및 form 등등은 선생님이 미리 만들어 주셨고, 컨트롤러를 같이 만들었습니다 ~ 먼저, 게시판의 목록 화면이 있고, 글 작성을 누를 수 있습니다. 글을 작성하는 페이지로 이동한 후, 목록을 누르면, 다시 게시판 목록으로 이동되고, 작성 완료를 누르면 글이 작성 됩니다. 게시판 목록으로 이동될 때,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해서 테이블의 정보를 읽어 옵니다. 게시판의 제목은 링크를 걸어서 클릭하면 글 상세보기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글 상세보기 화면에서는, 목록을 누르면 다시 게시판 목록으로 , 수정을 누르면 글 수정화면으로, 삭제를 누르면 글이 삭제가 됩니다. 파일명 : board_list.jsp ( 게시판 ..
2021.05.09 -
Day57 - [JSP]URL패턴 , MVC2 전체적인 컴포넌트 설계
이번에는 JSP 에서의 URL패턴과 MVC2 설계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URL패턴 URL 패턴에는 디렉토리 패턴과, 확장자 패턴이 있습니다. 디렉토리 패턴 디렉토리 패턴은, 아래와 같이 파일의 마지막 경로를 가지고 사용하는 패턴을 말합니다. http://localhost:8181/cr/Hello --> /Hello 서블릿 http://localhost:8181/cr/World --> /World 서블릿 확장자 패턴 확장자 패턴은, 아래와 같이 *.확장자 명을 사용하는 패턴을 말합니다. *를 사용하면, 앞에 어떤 경로가 붙더라도 마지막에 확장자로 판별하게 됩니다. http://localhost:8181/cr/Hello.do --> *.do 서블릿 http://localhost:8181/cr/World..
2021.05.06 -
Day56 - [JSP]EL
이번에는 EL 에 대해 알아 봅시다. EL EL은 일종의 스크립트 언어로 자료 타입, 수치 연산자, 논리 연산자, 비교 연산자 등을 제공하며 표현식을 대체할 수 있 습니다. EL은 저장객체를 출력할 때, 스크립트릿 을 쓰지 않을 수 있게 해주는 기술 입니다. 사용법 표현식 : EL : ${value} EL 은 문자열끼리 == 비교를 할 수도 있습니다. (원래는 eqals를 통해서 비교를 했는데 이는 null 값이 비교될 경우 에러) EL의 내장 객체 위의 내장 객체를 외울 필요는 없고, 기억이 안나면 한번 씩 보면서 하면 된다고 하는데, 사용하다 보면 외워지겠죠? EL의 내장 객체를 사용할 때는, "내장객체.변수명" 을 사용해주면 됩니다. 평소 사용하던 몇가지만 확인해 봅시다. - requestScope..
2021.05.05 -
Day55 - [JSP]MVC1 전체적인 컴포넌트 설계
이번에는 MVC1 전체적인 컴포넌트 설계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MVC1 전체적인 컴포넌트 설계 MVC1(Model View Controller)은 디자인 모델 중 1개 입니다. Model : 프로그램의 내부 상태 (데이터) 를 나타 냅니다. View :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말하는 것으로, 화면에 보여지는 것을 말합니다. Controller : 내부 데이터와 화면에 보여지는 것들의 상호작용을 뜻 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view + control 이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죠? 이처럼 MVC1 은, 처리할 페이지(보여줄 페이지 및 데이터 처리하는 페이지)를 각각 사용 합니다. 장점 : 단순한 페이지 작성으로 쉽게 구현이 가능 합니다. ( 중소형 프로젝트에 적합함 ) 단점..
2021.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