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일차(3)
-
Day79 - [js]비동기 01
이번에는 java scirpt의 비동기 fetch 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비동기 fetch fetch 는 java script 에서 지원하는 비동기 방식 인데요 비동기 방식은 페이지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고, 특정한 곳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입니다. 해당 방식은 콜백함수를 이용해서, 다른 작업을 처리하는 도중에 이루어집니다. 이는 해당 코드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모르기 때문에, 그 뒤에 있는 코드를 먼저 처리하라는 것 입니다. 비동기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fetch 를 이용해서 알아 봅시다. 먼저, 특정한 데이터를 만들어 주기 위해서 "hi.txt" 라는 파일을 만들고, 안에 데이터를 아무렇게나 작성을 했습니다. 위처럼 작성을 해주면 되는데요, 하나씩 보도록 합시다. 먼저..
2021.06.09 -
Day79 - [js]쿠키
이번에는 java script 에서 쿠키 에 대한 사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쿠키 쿠키는, JSP 에서 한번 공부 했었는데요 페이지에 어떠한 변수를 저장 하는 방법이었습니다. 특징은, 페이지에 저장할 때, 소멸시간도 같이 저장을 해서, 설정해 놓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게 됩니다. 쿠키 생성 JSP 에서는, cookie 를 그냥 쉽게 사용할 수 있었는데, java script 에서는 cookie 를 만들어 줘야 합니다. 쿠키는 'name=value;' 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그리고, 소멸날짜 를 가지고 있죠 그래서, 아래처럼 쿠키가 소멸될 시간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쿠키를 'name=value;' 의 형태와 날짜에 대한 값을 저장했다면, 마지막으로 document.cookie 에 대입해주면 됩니다. ..
2021.06.09 -
Day79 - [js]location, history, navigator
이번에는 java script 의 location , history , navigator 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location location 은 페이지를 넘기는데 사용 됩니다. 대표적으로 location.href = " 이동할 페이지 " 를 사용하죠 이동할 페이지는, 내가 만든 문서도 가능하고, 구글, 네이버, 다음 처럼 이미 다른사람이 만들어 놓은 곳도 가능합니다. location.reload 는 페이지의 새로 고침을 의미 합니다. ※ 주의 : 새로고침을 마구잡이로 사용하면 안됌 history history 는 java script 의 기록을 의미합니다. location.go(-1) 을 하면, 뒤로가기를 의미 합니다. ※ 주의 : 브라우저 창에서 1번이라도 이동을 해야 뒤로 갈 수 있습니다 loc..
2021.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