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2)
-
Day45 - 프로시저, 매개변수OUT, IN OUT, RETURN
이번에는 프로시저를 이용해서 값(데이터)을 밖으로 내보내는 OUT과 값을 입력받기도 하고, 밖으로 내보내기도 하는 IN OUT, 프로시저를 강제 종료하는 RETURN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OUT 매개변수를 받을 때, IN 이라는 걸 썻죠? 매개변수를 밖으로 내보낼 때 ( 데이터를 외부에 저장할 때) OUT을 사용합니다. 어떻게 사용하는지 한번 봅시다. PROCEDURE 프로시저명 다음에 () 안에 OUT 변수를 선언하면 됩니다. 그리고, OUT 을 사용했다면 프로시저를 사용할 때 익명블록 안에서 사용해 주셔야 합니다. 익명블록은, DECLARE BEGIN END 입니다. 즉. OUT의 자리에 변수를 하나 넣어주면, 변수에 값이 저장이 되는 겁니다. ※ STR 이라는 변수에 값이 저장되었습니다. IN O..
2021.04.19 -
Day10 - 메서드(함수) 03. 반환형(type return)
이번에는 메서드의 return type(반환형) 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반환형(return type)은 메서드를 호출 하면 돌려주는 값에 대한 type 인데요 예제를 한번 봅시다 여기 두개의 정수를 받아서 합계를 반환 해주는 메서드가 있습니다. ( 매개 변수 ){ 실행문 } 메서드의 기본 형태에서 , 바로 이 위치하는 곳 ! 그 곳이 바로 반환형(return type) 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반환형(return type)은 뭐겠어요? 바로 int 입니다. 좀 이해가 되셨나요? 그리고 반환형(return type)은 없을 수도 있습니다. 바로 void 형 인데요 바로 빈 공간 , 공허 ... 입니다 이렇게 반환형(type return)이 들어가는 곳에 void가 이렇게 들어오게 되면, 반환할 값이 없다..
2021.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