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ER JOIN(2)
-
Day34 - JOIN
오늘은 JOIN 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JOIN 위와 같은 테이블을 만든다면....? job에 있는 값이 중복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 만약 홍길동의 직업이 바뀐다면, job에 있는 내용을 전부 수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데이터가 저장된 공간이 1개당 1원이라고 생각해 보죠. 만약, 홍길동의 데이터가 많다면, 그만큼 손해가 커지는 것 입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테이블은 분해해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정규화) - 장점 - 1. 중복을 피할 수 있다. 2. 홍길동의 직업을 변경할 때도 하나만 변경하면 전부 다 바뀐다. 3. 다른 홍길동이 존재한다고 했을 때, 알아보기 편하다. 4. info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user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분해한 테이블 들을..
2021.04.02 -
Day33 - 테이블 생성, INNER JOIN
이번에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과 INNER JOIN 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여태까지는 이미 만들어져 있는 테이블을 사용했었는데, JOIN을 알아보기 위해서 테이블을 생성해 봅시다. 테이블 생성 ※oracle이 비싼 이유가 나옵니다 !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열고, 테이블 폴더에 우클릭을 한 후 새 테이블을 눌러 줍시다. 테이블의 이름은 쓰고 싶은대로 작성 해주세요. 저는 user1 이라고 하겠습니다. 이제 속성(column)을 만들어 봅시다 초록색+를 3번 눌러주세요 이렇게 만든 속성들의 이름, 데이터 유형, 크기를 설정해 줍시다. 그리고, PK(기본키)를 1개만 클릭해 주세요 그 다음, DDL을 눌러보시면 ....? 이렇게, CREATE TABLE 구문이 있죠? 원래는 이렇게 마우스로 테이블을 ..
2021.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