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일차(4)
-
Day61 - [Git]협업하기.Pull request
이번에는 Git 에서 협업하는 방법. Pull request 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Pull request pull request는 원격 저장소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1명 존재하고, 해당 원격 저장소에 내가 작성한 코드를 원격 저장소에 반영해 달라고 요청 하는 것 입니다. pull request 를 하기 위해서는, 원본이 되는 원격 저장소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Fork 를 눌러서 복사본을 내 계정으로 가져옵니다. ※ 제 계정 1개에 하려고 했는데, 안되네요 ㅎㅎㅎㅎ 그러면 , 내 계정에 아래와 같이 생긴게 생깁니다. ( 복사본 ) ※ 원격저장소 원본의 이름이 / 뒤에 생깁니다. 복사본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해서, clone 을 만듭니다. remote -v 를 확인 했을 때 원격저장소 복사본의 주소가 ..
2021.05.13 -
Day61 - [Git]원격저장소 Repository 삭제
이번에는 Git Hub 에 있는 원격 저장소를 삭제 하는 걸 알아 봅시다. 원격저장소 삭제 먼저 Git Hub에 가서 로그인을 하고, 삭제를 원하는 Repository 를 들어갑니다. 그리고 위의 탭에서 Settings 에 들어 갑니다. 아래로 쭉 내려서, Danger Zone 에 맨 아래 있는 Delete this repository 를 클릭 합니다. 아래의 팝업창에서, 해당 텍스트를 똑같이 입력하고, 아래 있는 버튼을 누릅니다. 그 후에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1번 하면, 인터넷 을 껏다 키기 전까지 비밀번호 입력x ) 간단하게 원격저장소를 삭제하는 방법에 알아 보았습니다.
2021.05.13 -
Day61 - [Git]Stash
이번에는 Git 의 Stash 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Stash Stash 는 , 현재 내가 작성하는 파일을 커밋하지 않고, 임시 저장소에 저장하는 방법 입니다. complict 에러를 피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입니다. ※ git stash -> 하던 작업 임시저장소에 저장하기 ※ git stash list -> stash 목록 보기 ※ git stash aplly -> stash에 있는 파일 가져오기 ※ git stash drop -> stash의 (이름)stash 제거하기 ※ git stash clear -> stash 전부 지우기 직접 한번 해봅시다. 먼저, 최초 커밋을 해서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똑같이 만들어 줍니다. 이 상태에서 저는 A.txt 를 수정을 합니다. ( 커밋은 하지 않은 ..
2021.05.13 -
Day61 - [Git]깃의 comflict
이번에는 깃의 comflict 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comflict comflict 는 , 깃을 통해서 협업을 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에러 인데요 발생하는 이유는, 원격 저장소에 있는 파일이 최신화 되지 않았을 때 발생 합니다. 즉. 원격 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이 변한 상태 인데, 내 로컬 저장소에서도 원본 파일들이 변한 경우 입니다. 내 로컬 저장소에 있는 A.txt 의 파일이 위와 같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걸 push를 해서 원격 저장소에 똑같이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런데,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가... 다른 파일을 추가를 했거나? A.txt 를 수정을 했습니다. 자 그러면 현재 상태는 어떻게 되죠? 일단 내 로컬 저장소에 있는 A.txt 파일과 원격 저장소에 있는 A.txt 가 다르죠? 그런데, 저..
2021.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