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변환(2)
-
Day03 - 연산에 의한 형변환
연산에 의한 형변환 안녕하세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이번에는 저번에 배운 데이터 유형을 활용한 연산에 의한 형변환에 대해 알아 봅시다 ~ 들어가기에 앞서 데이터 유형의 크기를 알고 계시는 편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요. byte(1) < short(2) < int(4) < long(8) < float(4) < double(8) 서로 다른 타입의 데이터 유형이 연산 될 경우. 큰 쪽의 유형을 따라가게 됩니다. c는 char형 변수 이고 , i는 int형 변수죠. 서로 연산을 하게 될 경우 반환되는 데이터 유형은 큰 쪽인 i ( int ) 형을 따라가게 되기 때문에 반환 되는 값이 int형이 됩니다. 그래서 char형 변수 cc 에 값이 저장 되지 않고, int형 변수 ii에는 값이 저장이 되는겁니다. 하지만..
2021.02.17 -
Day02 - 기본 자료형 및 형 변환 Type Casting
기본 자료형 데이터 유형(자료형)에 대해서 조금 알아봅시다. 저번에 데이터 유형의 크기와 범위 종류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어떤 데이터 유형을 많이 사용하는지 알아봅시다 정수형 데이터 유형에서는 int 실수형 데이터 유형에서는 double 기본적으로 정수형 데이터 int 를 사용하는 이유는, windows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운영체제 등이 32bit(x64)로 되어 있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64bit(x84) 운영체제도 많이 사용하지만, 프로그램 언어가 개발 됐을 당시에 32bit 운영체제를 사용해서 다양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만들었기 때문에 32bit가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 있다고 해요. 그래서 int ( 4byte ) = 32bit 이기 때문에 int 가 기본적으로 설..
2021.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