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3)
-
Day70 - [js]변수, 간단한 함수
이번에는 java script의 변수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변수 java 를 하고 오셨다면, java script 의 변수가 얼마나 편한지 알 수 있습니다. java script는 변수를 선언할 때, 특정한 데이터타입을 명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변수라는 걸 알려주기 위해서 var(variable) 을 앞에 붙이기로 약속이 되어 있습니다. 같은 이름의 변수를 선언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같은 이름의 변수를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데이터타입을 명시하지 않기 때문에, java script 에서는 알아서 데이터 타입을 정합니다. 정수와 실수는 그냥 대입해주면 되며, 문자열은 '' 또는 "" 를 이용합니다. .html 파일 에서는 를 이용해서 java script를 사용하지만, ...
2021.05.27 -
Day12 - 변수의 기본타입과 참조타입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타입과 참조타입을 알아 봅시다 ~ 기본타입 기본타입은 이미 저희가 알고 있는 타입 입니다 ~ 바로...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char, boolean 이 있죠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저장 방식을 알아야 하는데요? 바로 Stack(스택) 과 hip(힙) 입니다. int i = 10; 이라고 생각을 해봅시다. 이 int형 변수 i의 값 10은 Stack(스택)에 저장이 됩니다. 그 외에도 위에 있는 기본타입 들은 스택 영역에 변수명과 값이 저장이 됩니다. 그런데, 참조타입은 좀 다릅니다. 참조타입 참조타입은 배열, 클래스, 인터페이스 가 있는데요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저희가 아직 안배운거니까 없다고 칩시다 참조타입은 데이터의 값이 ..
2021.03.03 -
Day02 -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이번에는 변수에 대해 알아봅시다 변수는 변할 수 있는 수를 의미하는데 ; int age = 20; 이렇게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데이터 유형은 int, 변수 이름은 age, age의 값은 20 , 세미콜론(;)으로 끝나는 걸 확인할 수 있죠 =은 수학에서는 같다 라고 쓰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대입으로 씁니다. 오른쪽에 있는 값이 왼쪽에 있는 변수에 들어가는 거죠. 결과 값을 한번 볼까요? System.out.println(age); 이 코드에 결과값은 20이 나왔습니다. 출력을 하는 매서드 println을 사용하고 안에 변수를 넣었더니, 변수의 값이 출력이 된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변할 수 있는 값이라고 했죠? 이번에는 앞에 이 없습니다. 변수는..
2021.02.16